-
[1월 93호] 《이 년》전
지난 12월 22일 정오 갤러리에서 연 《이 년》은 말 그대로 2년만의 전시다. 2012 스페이스 씨 레지던스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두 기획자와 다섯 작가가 다시 모였다.
성아리 작가는 전시 소개글에서 ‘2012 스페이스 씨 레지던스 프로그램은 오픈 스튜디오를, 대안적 프로그램의 불가능성, 제도와 실천 사이 공백에 관한 역설적인 의미를 담은 ‘닫힌 스튜디오 텅 빈 아카이브, 그리고 없는 사무실’이라는 이름으로 열었다. 무언가 결론 맺기보다는 가능성을 유보하는 것으로 2012 스페이스 씨 레지던스 프로그램은 막을 내렸다.’라고 이야기한다. 그리고 2년이 지난 지금, 2012 스페이스 씨 레지던스 프로그램 구성원들이 다른 공간에서 만났다.
《이 년》에는 당시 2012 스페이스 씨 레지던스 프로그램 기획자로 참여한 안권영, 성아리 작가와 입주작가로 참여했던 이재경, 원동민, 심종열, 오완석, 김홍수 작가가 함께했다. 특별한 기획 의도 없이 이들의 안부를 묻는, 2년 동안 펼쳐진 그 다양한 ‘가능성’의 길을 돌아보는 전시다. 지난 시간 동안 이들은 각자 다른 방식으로 삶, 생활, 예술 사이를 오가며 2년 전 유보했던 가능성의 다양한 실체와 마주했다.
전시장에 들어서면 제일 먼저 심종열 작가의
전시장 왼편, 한 쌍의 모니터에는 김홍수 작가의
![]()
안권영 Landscape N1409_into the Green, Single channel video, 4min 4sec, 2014
![]()
오완석 중요한 생각만 하는 네모, 가변설치, 모래, 2014
![]()
(왼쪽부터) 성아리 일곱 개의 사물과 여덟 각의 말, 가변설치, 혼합재료, 2014, 원동민 전시가 끝날 때까지_Until the end of the exhibition, 25x25x46(cm), 풍선, 아크릴케이스, 2014
![]()
이재경 고도를 기다리며, digital print, 2014
바로 옆 모니터에는 안권영 작가의 영상 작업
내부를 사각형 모양으로 잘 다듬은 모래 작품은 오완석 작가의 <중요한 생각만 하는 네모>다. 작가는 제목에 부담을 느낀 관객이 네모를 전시장과 전혀 다른 공간으로 인식하고 그 안으로 들어가거나, 그렇지 못하게 되기를 기대한다.
노란 풍선이 매끈한 아크릴케이스를 가득 채운 작품은 원동민 작가의 <이 전시가 끝날 때까지>이다. 전시를 준비하며 지난 2년 동안 자신에게 일어났던 여러 일을 회상하게 된 작가는, 바람이 가득한 풍선을 자신에 빗대어, 전시하는 동안 슬며시 바람이 빠질 것을 의도했다.
‘무언가를 기다리는 마음’이라고 짤막하게 작품을 설명한 이재경 작가는 올여름 제주도 금악오름에서 찍은 흑백 사진을 꺼내놓았다. <고도를 기다리며>라고 이름 지은 사진 작품에는 패러글라이딩을 하며 날아오르는 어떤 이의 모습이 시원하게 담겼다.
일곱 사람이 모여 전하는 2년 동안의 안부에 반가움과 자조, 불안, 생활, 시간, 온갖 상념이 있었다. 2012 스페이스 씨 레지던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모두가 전시에 참여하지는 못했다. 개인적인 이유로 참여하지 못한 한 작가를 제외한 일곱 사람은 각자의 방식으로 지난 시간을 풀어냈다. 이 전시는 1월 10일까지 진행한다.
정오 갤러리 대전 중구 대흥로139번길 10
관람 시간 13:00~19:00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