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[8월 100호] 이번 주 금요일, 옥상에서 만나요
지난 7월 17일 대흥동 북카페 이데에서 이야기가 있는 옥상 콘서트가 열렸다. 이번 옥상 콘서트는 17일을 시작으로 8월 28일까지 총 다섯 번의 공연을 할 예정이며, 그 첫 번째 공연의 주제는 여행이었다. 공연 전 관객은 상기된 표정으로 한 시간 남짓한 여행을 떠날 준비를 했다.
기사글공연은 조지영 팀장의 시낭송과 함께 시작됐다. ‘그대 하루하루의 반복으로부터/단 한 번도 용서할 수 없는 습관으로부터/그대 떠나라’라는 고은의 「낯선 곳」이 옥상에 울려 퍼졌다. 곧이어 여행이라는 주제와 걸맞은 노래인 「적당한 여행」이 무작정 떠나고 싶게 만드는 노랫말로 관객을 설레게 했다. 자판기커피숍은 1집 앨범에 있는 「이별송」, 「당신과 저는 헤어졌어요」, 「대동 산 1번지」와 함께 커버 곡으로는 10센치가 부른 「아메리카노」와 최성원의 「제주도 푸른 밤」을 노래했다. 신선한 밤공기가 음악과 어우러져 다른 세상에 있는 듯했다.
![]()
자판기커피숍은 신 나게 10센치의 「아메리카노」를 부른 뒤 ‘당신에게 여행이란?’ 주제로 관객과 이야기를 나눴다. 공연 전 피켓에 메모지로 붙여 놓은 저마다의 여행에 관한 생각은 관객의 수만큼이나 다양했다. ‘여행은 솔·플(솔로 플레이, 혼자 여행하는 것)이다.’라는 생각을 듣고 다 같이 웃기도 하고 ‘나와는 다른 사람의 세상을 잠시 구경하는 것’이란 생각에 공감하기도 했다. 또 ‘여행은 일상이고 일상은 여행이다.’라는 말에 일상을 돌아볼 기회도 있었다. “여행의 참맛은 이별이죠.”라며 운을 뗀 베이스 박정훈 씨의 멘트로 「이별송」이 시작됐다. 잊고 싶어도 잊을 수 없는 이별의 아픔이 기타 소리를 타고 전해졌다. 만나면 헤어짐도 있다는 이별의 공식은 여행의 모습이기도 했다. 옥상에서의 짧은 여행은 그렇게 막바지를 향해 달려갔다.
![]()
“무엇보다도 장소가 좋았어요. 시원한 바람도 불고, 여행이라는 주제로 진행한 점도요.”
공연을 본 임세인 씨는 옥상 콘서트에 대한 짧은 소감을 전했다.
“이런 공연장은 처음이었어요. 젊은 사람들이 옥상 공연을 더 많이 접할 기회가 있으면 좋을 거 같아요.”
관객 이명숙 씨 또한 옥상에서의 특별했던 공연에 관해 이야기했다. 그들은 모두 옥상이라는 공간에 매력을 느꼈다. 그 매력은 옥상에서만 느낄 수 있는 정취와 함께 음악을 동시에 즐길 수 있다는 것이었다. 다 같진 않아도 많은 관객이 일상 속에서는 느끼지 못했던 감정을 느꼈을 것이다. 그것은 여행지에서 느끼는 낯설지만 신선한 느낌과도 같다.
자판기커피숍 구성원 또한 옥상에서의 짧은 여행에 만족스러워했다. “야외에서 공연하는 걸 좋아해요. 관객들의 반응을 가까이서 볼 수 있으니까요.”라고 말하는 박정훈(베이스, 보컬) 씨의 목소리에서 공연 후 남은 흥분을 느낄 수 있었다. 관객의 반응을 중요시하는 이유는 그들의 음악관과 무관하지 않다.
“저희는 지극히 대중적인 음악을 하고 싶어요. 편한 음악이요. 마냥 쉽다기보단 공감할 수 있는 음악을 하려고 노력해요.” 방금까지 시끌벅적하던 분위기는 온데간데없이 사뭇 진지하게 음악관을 얘기하는 그들의 모습엔 음악에 대한 깊은 열정이 있었다. 다 같이 오래 음악 하는 것이 목표라는 그들에게 음악을 계속할 수 있는 ‘옥상’이 더 늘어나길 바란다
